Korean English Japanese

원측(圓測): 동아시아 유식학의 대가

원측(圓測)
원측(圓測)

1. 개요

원측(圓測)은 신라에서 출가한 승려로, 그의 본명은 문아(文雅)다. 원측은 15세에 당나라로 유학을 떠나 약 70년 동안 머물며 구유식(舊唯識)과 신유식(新唯識)을 연구했다. 그는 유식학의 대가로 명성을 떨쳤으며, 불교 경전 번역 사업에도 활발히 참여했다. 그의 생애와 업적은 불교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동아시아 유식학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2. 15세에 당으로 유학을 떠나다

원측은 신라의 6부 중 하나인 모량부 출신으로 추정되며, 어린 시절부터 천재적인 지혜를 보여주었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그는 3세에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고, 627년, 15세의 나이로 당나라에 유학을 떠났다. 유학 초기에는 법상(法常)과 승변(僧辨) 밑에서 구유식을 공부했다. 구유식은 인도에서 온 진제가 번역한 『섭대승론』을 바탕으로 하는 초기 유식학이다.

원측은 당 태종으로부터 도첩(度牒)을 받아 수도 장안의 원법사(元法寺)에 머물며 불교 논서를 연구했다. 이러한 학문적 활동은 그를 학승(學僧)으로서 널리 알리게 했다.

3. 현장(玄奬)과의 만남: 신유식의 도입

원측의 사상적 전환은 현장과의 만남에서 비롯되었다. 현장은 인도로부터 돌아와 새로운 불교 경전을 전하면서 신유식 학풍을 도입했다. 원측은 신유식의 핵심 경전인 『성유식론(成唯識論)』을 접하며 새로운 교학을 배우게 되었다.

흥미로운 일화로, 원측이 현장의 강의를 몰래 들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이는 후에 원측과 규기(窺基) 사이의 학문적 갈등을 반영한 기록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일화는 당시 유식학이 구유식과 신유식으로 나뉘어 경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원측은 신유식에 대한 해석을 담아 『유식론소(唯識論疏)』를 집필했으며, 이로 인해 유식학 내에서 중요한 인물로 자리 잡았다. 이는 그의 학문적 열정과 영향력을 잘 보여준다.

4. 당에서의 활동과 번역 사업

원측은 어학에 능통하여 인도어와 중국어에 모두 정통했으며, 인도에서 온 논사들과의 토론에도 참여했다. 그의 학문적 명성은 당나라 황실에도 알려져 측천무후(則天武后)가 그를 매우 존중했다. 그는 서명사(西明寺)의 대덕(大德)으로 임명되어 교학을 펼쳤으며, 다양한 불교 경전 번역 사업에 참여했다.

671년부터 운제사(雲際寺)에 머물던 그는 이후 서명사로 돌아와 경전 번역과 교육에 전념했다. 특히 『대승현식경』과 『대승밀엄경』 등의 번역에 깊이 관여했으며, 만년에 『보우경(寶雨經)』과 『화엄경』 번역에도 참여했다.

원측은 번역된 경전의 의미를 검증하는 증의(證義)의 역할을 주로 맡았다. 이는 그의 어학 능력과 불교 교학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반영하는 중요한 작업이었다.

5. 신라로의 귀국 요청과 입적

신라의 신문왕(神文王)은 원측의 귀국을 여러 차례 요청했으나, 측천무후가 이를 허락하지 않아 끝내 돌아오지 못했다. 그는 낙양에서 『신화엄경』 번역을 마치지 못하고 불수기사에서 입적하였다. 그의 사후 제자들은 그의 사상을 계승하며 동아시아 불교에 큰 영향을 미쳤다.

6. 원측 사상의 의미와 영향

원측의 저술로는 『성유식론소』,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 『인왕경소(仁王經疏)』 등이 있다. 그의 사상은 유식학과 중관(中觀)의 대립적 입장을 조화롭게 통합한 것이 특징이다. 원측은 모든 불교 교설이 궁극적으로 깨달음에 이르는 방편(方便)임을 강조했다.

그의 사상은 티벳과 일본에도 전파되었다. 담광(曇曠)은 원측의 저서를 돈황에 전했고, 이는 이후 티벳어로 번역되었다. 일본에서는 원측의 저서들이 여러 차례 필사되며 깊은 관심을 받았다.

원측의 제자인 승장(勝莊)은 그의 승탑을 건립하였고, 도증(道證)은 신라로 돌아가 유식학을 전파하였다. 도증 이후 도륜(道倫)과 태현(太賢) 등이 유식학 분야에서 활약하며 원측의 사상이 계승되었다.

7. 결론

원측은 신라 출신이지만 당나라에서 유식학의 대가로 명성을 떨쳤고, 동아시아 불교의 발전에 큰 기여를 했다. 그의 학문적 열정과 통찰력은 구유식과 신유식을 아우르며 새로운 사상의 지평을 열었다. 그의 사상은 오늘날까지도 유식학 연구의 중요한 기초가 되고 있다.

함께 보면 좋은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