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nglish Japanese

무왕(武王)과 미륵사의 창건: 백제의 이상을 구현한 전륜성왕

무왕 표준영정
무왕 표준영정

1. 개요

무왕(武王, 재위: 600~641년)은 백제의 제30대 왕으로, 불교적 이상을 정치에 반영하며 백제의 왕권 강화를 꾀했습니다. 그는 왕흥사와 미륵사를 창건해 왕권을 다지고 백제의 정신적 기반을 재정립하려 했으며, 신라와 고구려, 그리고 왜와의 외교를 통해 복잡한 국제 정세 속에서 백제의 생존을 모색했습니다.

2. 무왕의 즉위 과정과 서동설화

무왕의 성은 부여(夫餘), 이름은 장(璋)이며 『삼국유사』에는 그를 ‘무강왕(武康王)’ 또는 ‘헌병왕(獻丙王)’으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의 즉위 과정은 백제 왕위 계승의 혼란을 반영한 서동설화에서 그려집니다. 서동설화는 무왕이 마(薯)를 팔던 서동(薯童)으로 등장하며, 진평왕의 딸 선화공주와의 로맨스가 주요 줄거리입니다. 그러나 역사적 사실과 설화적 내용이 충돌하며, 무왕의 부인은 실제로 사택적덕(沙宅積德)의 딸로 확인되었습니다.

3. 무왕의 국내 정치

무왕은 즉위 직후, 귀족들의 견제와 정치적 혼란 속에서 왕권 강화를 위해 노력했습니다. 초기 아막성 전투(602년)에서의 실패는 오히려 왕권 강화의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 전투에서 좌평 해수가 대규모 병력을 이끌고 신라를 공격했으나 실패하며, 귀족 세력이 타격을 입었습니다. 이후 무왕은 왕권을 강화하고 정치 조직을 개편하여 좌평을 6좌평제로 전환하고 22부사를 설치했습니다.

무왕의 왕권 강화 정책은 불교적 색채와 결합하여 더욱 강력한 통치 이념을 제공했습니다. 대표적으로 왕흥사미륵사의 창건이 있습니다. 왕흥사는 국가와 왕실의 번영을 기원하는 사찰이었고, 미륵사는 무왕 자신이 미륵불국토를 구현하려는 이상을 상징했습니다.

백제 왕흥사
백제 왕흥사

 

 

4. 무왕대의 대외 관계

무왕은 백제의 대외 관계를 신라, 고구려, 중국(수·당), 왜(倭)와 복잡하게 엮어냈습니다. 신라에 대한 전쟁은 주된 관심사였으며, 백제는 한강 유역과 가야 지역을 회복하기 위해 군사적 노력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가잠성 공격과 속함성 탈환을 통해 백제는 신라와의 경계선을 유지하려 했습니다.

고구려와의 관계에서는 중국을 이용해 견제하는 이이제이(以夷制夷) 전략을 구사했으며, 왜와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무왕의 손자인 부여풍을 질자로 보내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외교적 노력은 백제의 생존을 도모하면서도 신라에 대한 복수를 준비하는 전략이었습니다.

5. 무왕의 익산 경영과 미륵사 창건

무왕은 익산을 새로운 정치·종교적 중심지로 삼으려 했습니다. 익산에는 왕궁리 유적과 제석사지, 쌍릉 등이 남아 있으며, 특히 미륵사는 백제 최대 규모의 사찰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무왕과 선화공주가 미륵삼존을 만나 이를 계기로 미륵사를 창건했다고 전해집니다. 그러나 2009년 미륵사지 서탑에서 발견된 금제사리봉안기에는 무왕의 부인이 사택적덕의 딸로 기록되어 있어 서동설화와 충돌합니다.

이러한 모순에 대해 학계에서는 두 가지 기록을 절충적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선화공주가 무왕의 첫 왕비였으며, 그녀가 사망한 후 사택왕후가 미륵사 건립에 참여했을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미륵사는 동원, 서원, 중원에 탑과 금당을 두어 3원식 가람 형태로 지어졌으며, 건립 과정은 34년에 걸쳐 이루어졌습니다.

금제사리봉안기
금제사리봉안기

결론

무왕은 미륵사를 창건함으로써 불교적 이상과 왕권 강화를 동시에 추구했습니다. 익산 천도를 시도하며 새로운 정치적 도약을 꿈꾸었으나, 이 계획은 귀족들의 반대와 정치적 현실 속에서 좌절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무왕은 백제의 불교 문화와 정치적 위상을 높이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습니다. 그의 통치는 이후 백제의 운명을 결정지은 중요한 전환점이었으며, 미륵사와 같은 유적들은 무왕의 이상과 정치적 비전을 오늘날까지 전하고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