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nglish Japanese

임신서기석: 신라 청년들의 유교 맹세와 역사적 의미

임신서기석(壬申誓記石)
임신서기석(壬申誓記石)

1. 임신서기석 개요

임신서기석(壬申誓記石)은 신라 시대 두 청년이 임신년(壬申年)에 하늘 앞에서 충도(忠道)를 지키기로 맹세하고, 신미년(辛未年)에는 유교 경전을 학습할 것을 약속한 비석입니다. 1934년 경주시 현곡면 금장리 석장사지 부근에서 발견되었고, 2004년에는 보물 제1411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이 비석은 신라 청년들이 자발적으로 세운 맹세의 기록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며, 당시 신라에서 유학(儒學)이 어떻게 이해되고 실천되었는지를 직접적으로 보여줍니다.

 

2. 임신서기석의 형태와 변격한문

비석의 크기는 길이 약 34cm, 상단 너비 12.5cm, 하단 너비 9cm이며 두께는 2cm입니다. 비문은 총 74자의 한자로 구성된 5행으로 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은 내용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비문 판독문]

  1. 壬申年六月十六日二人幷誓記天前誓今自
  2. 三年以後忠道執持過失无誓若此事失
  3. 天大罪淂誓若國不安大舐世可容
  4. 行誓之又別先辛未年七月卄二日大誓
  5. 詩尙書礼傳倫淂誓三年

해석에 따르면 두 청년은 3년 뒤 충실한 도를 지키고 과실 없이 생활할 것을 맹세했으며, 유교 경전을 학습하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이와 같은 비문은 정격한문(正格漢文)이 아닌 신라 특유의 변격한문(變格漢文)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이는 한문 문법을 따르지 않고 신라의 고유한 언어적 특성에 맞춰 한자를 배치한 특징을 보입니다.

 

3. 임신서기석의 작성 시기와 배경

비문에 기록된 임신년과 신미년의 정확한 연대는 명확하지 않으나, 발견된 지역과 서체의 특징으로 신라 중고기 시기로 추정됩니다. 제작 연대와 관련하여 학계에서는 552년(진흥왕 13년)과 612년(진평왕 34년) 두 가지 가능성을 논의합니다.

  • 552년설: 비문의 글씨체가 단양적성비와 유사하여 진흥왕 시기로 보기도 합니다.
  • 612년설: 김유신이 611년에 맹세를 했던 기록과 맞물려, 진평왕 시대의 제작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비문 속에 언급된 ‘충도집지(忠道執持)’는 신라 화랑도의 정신과 연관이 있으며, 두 사람이 맹세한 형태는 화랑도의 이인맹약(二人盟約)과도 닮아 있습니다. 하지만 임신서기석의 작성자를 특정 화랑으로 보기는 어렵고, 신라의 일반 청년들로 이해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보입니다.

4. 유교 경전과 신라 사회에서의 역할

비문에 등장하는 『시경』, 『예기』, 『춘추』 등 유교 경전은 신라의 국학(國學) 교육과 직결됩니다. 신라의 청년들은 유교 경전을 학습하여 관직에 오르는 것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실제로 강수(强首)와 같은 인물들이 유교 경전 공부를 통해 관리로 진출한 사례가 이를 뒷받침합니다.

682년(신문왕 2) 국학이 설립되면서 유교 경전 교육이 제도화되었고, 788년(원성왕 4)에는 독서삼품과(讀書三品科)라는 관리 선발 제도가 도입되었습니다. 이는 유교 경전의 이해 수준에 따라 관리로 발탁하는 제도였으며, 임신서기석에서 언급된 『예기』와 『춘추』는 상위 등급에 속했습니다. 이처럼 신라의 유학 교육은 국가 운영과 인재 선발에 긴밀하게 연계되었습니다.

 

5. 임신서기석의 의의와 평가

임신서기석은 신라 청년들이 유교 경전 학습을 통해 자신의 삶을 규율하고, 더 나아가 국가에 기여하고자 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입니다. 비록 비문이 정격한문이 아닌 변격한문으로 작성되었지만, 이는 신라인들의 독자적인 한문 사용 방식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습니다. 또한, 유교 사상이 신라 사회 전반에 걸쳐 깊이 뿌리내리고 있었음을 시사합니다.

임신서기석은 단순한 맹세 기록을 넘어, 신라 청년들의 자아 성찰과 학문적 노력, 그리고 사회적 책임감을 담고 있는 소중한 유산입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 비석은 신라 시대의 교육과 유학 사상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로 남아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