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nglish Japanese

포항 중성리 신라비: 신라사의 비밀을 푸는 열쇠

포항 중성리 신라비
포항 중성리 신라비

 

1. 개요

포항 중성리 신라비는 신라사 연구에 큰 변화를 가져온 중요한 문화재입니다. 이 비석은 포항 중성리에서 발견되었으며, 신라 왕과 육부가 이 지역에서 일어난 분쟁을 해결하고 그 결과를 기록한 것입니다. 이를 통해 신라의 정치, 사회, 경제 상황을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또한 다른 신라 석비들과 비교 연구를 통해 당시 신라의 제도와 발전 양상을 파악할 수 있어 매우 중요한 사료로 평가됩니다.

 

2. 발견과 명명 과정

초기 발견

2009년 5월 11일, 포항시 북구 흥해읍 중성리에서 도로 개설 작업 도중 김헌도 씨에 의해 이 비석이 우연히 발견되었습니다. 빗물에 씻긴 돌에서 문자가 드러나자 전문가들의 검토를 거쳐 신라비임이 확인되었습니다.

명칭 변경

초기에는 발견된 장소를 ‘학성리’로 인식해 "포항 학성리비"로 불렀으나, 이후 정확한 행정구역 조사 결과 중성리에서 발견된 것으로 밝혀져 "포항 중성리 신라비"로 정식 명명되었습니다. 현재 이 비석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에서 보관 중이며, 2015년 4월 22일 국보 제318호로 지정되었습니다.

 

3. 비석의 형태와 글자

이 비석은 가공되지 않은 자연 화강암으로 만들어졌으며, 높이는 105.6cm, 너비는 약 48cm, 두께는 약 14cm입니다. 전체적으로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형태를 띠며 일부 파손 흔적이 확인됩니다.

비문 특징

비석 앞면에만 글씨가 새겨져 있으며, 총 12행에 약 203자의 문자가 기록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글씨는 예서체와 해서체가 혼합되어 있으며, 대부분 판독이 가능할 정도로 보존 상태가 양호합니다.

 

4. 건립 시기

비석 첫 부분의 '신사(辛巳)'라는 간지를 통해 건립 시기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이 비석이 503년에 세워진 냉수리 신라비보다 이전의 것임을 감안할 때, 441년(눌지마립간 시기) 또는 501년(지증왕 시기)에 건립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초기에는 501년 설이 주류였으나, 최근 연구에서는 441년 설도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5. 비문의 내용과 쟁점

분쟁과 판결

비문은 당시 중성리 지역에서 발생한 분쟁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왕과 육부의 논의를 거쳐 분쟁을 해결하고, 그 명령을 전달하기 위해 비석이 세워졌습니다. 그러나 분쟁의 구체적인 내용과 인물, 지역에 대해서는 연구자들 사이에 의견 차이가 있습니다.

주요 해석 쟁점

  1. 육부의 명칭 해석
    • 비문에 등장하는 "모단벌(牟旦伐)"을 어떤 연구자는 모량부(牟梁部)로, 다른 연구자는 인명으로 해석합니다. 이는 분쟁의 주체를 공동체로 볼지, 개인으로 볼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논쟁입니다.
  2. ‘금평(金平)’ 해석
    • 이를 부명으로 볼지, 지명으로 볼지, 혹은 인명으로 볼지에 따라 비석 해석이 달라집니다.
  3. 관등 문제
    • 냉수리비와 마찬가지로 이 비문에도 신라의 관등 체계가 반영되어 있습니다. 특히 '일벌(壹伐)'이라는 관등의 해석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4. 지방 지배 구조
    • 비석에 등장하는 간지(干支)와 일금지(壹金知) 등의 인물들은 지방 지배와 관련된 실무를 담당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를 통해 신라의 지방 지배 방식과 촌(村) 단위의 행정 체계를 유추할 수 있습니다.

 

6. 포항 중성리 신라비의 의의

포항 중성리 신라비는 신라 초기 국가체제와 사회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입니다. 그러나 건립 시기와 비문 해석에 대한 논란은 여전히 진행 중이며, 이는 앞으로의 연구에 따라 새로운 해석이 나올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이 비석은 냉수리 신라비와 봉평 신라비와의 비교를 통해 신라 사회의 변화상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5~6세기 신라의 정치·경제·사회 전반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사료로서 앞으로도 학계의 관심과 연구가 계속될 것입니다.

 

7. 결론

포항 중성리 신라비는 단순한 석비를 넘어 신라사의 여러 미스터리를 풀 열쇠를 제공하는 중요한 유물입니다. 이 비석에 대한 연구가 더 진행됨에 따라 신라의 국가 발전 단계와 사회 구조에 대한 이해가 더욱 심화될 것입니다. 신라사뿐만 아니라 한국 고대사 연구 전반에도 큰 영향을 미칠 이 비석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