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nglish Japanese

가야 갑주(伽倻 甲胄): 중장기병의 실체, 가야사를 다시 이해하다

판갑옷
판갑옷

1. 개요

갑주(甲冑)는 갑옷과 투구를 의미하며, 전투 중 몸을 보호하기 위해 입는 장비입니다. 철기 시대 이전에는 동물의 뼈나 가죽, 나무로 갑옷을 제작했으나, 철제 갑주가 등장하면서 방어력과 위상을 높였습니다. 철제 갑옷은 장수와 전사뿐만 아니라 에게도 착용되었습니다. 말의 갑옷과 투구는 각각 마갑(馬甲)마주(馬冑)라고 불리며, 사람과 말이 모두 갑주로 무장한 병력중장기병으로 불립니다.

고구려 고분 벽화에서 중장기병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지만, 가야 중장기병은 자료가 부족해 발굴된 유물로 이해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 글에서는 가야의 갑주와 마갑, 중장기병의 특성을 중심으로 가야사의 새로운 시각을 제시합니다.

 

2. 가야 전사의 갑옷과 투구

2.1 쇠갑옷은 누구에게 사용되었을까?

쇠갑옷은 4세기경 본격적으로 등장합니다. 하지만 모든 병사가 철제 갑옷을 착용한 것은 아니며, 장수와 고위 계급에게만 허용된 권력과 위상의 상징이었습니다. 일반 병사들은 가죽, 나무로 만든 보호 장비를 사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2.2 가야 갑옷의 종류

  • 판갑(板甲): 큰 철판을 연결해 만든 갑옷.
  • 찰갑(札甲): 수백 개의 작은 철판을 비늘처럼 엮어 만든 갑옷. 착용자의 움직임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이후 조선시대까지 이어졌습니다.

가야에서는 종장판갑(縱長板甲)이 널리 사용되었으며, 이는 신라와의 교류 속에 발전되었습니다. 가야의 판갑은 나팔 모양을 한 신라의 투구와 달리 반원형과 고사리 모양의 장식이 특징입니다. 또한, 대금계판갑(帶金系板甲)은 일본 고유의 판갑이지만, 가야에서 출토된 것은 교류의 증거로 해석됩니다.

 

판갑옷과 투구(앞에서 본 모습), 고령 지산동 고분군 32호 무덤, 가야, 5세기
판갑옷과 투구(앞에서 본 모습), 고령 지산동 고분군 32호 무덤, 가야, 5세기

 

3. 가야의 투구

투구종장판주(縱長板冑)소찰주(小札冑)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었습니다.

  • 종장판주: 긴 철판 여러 장을 연결해 만든 투구. 머리 부분에 구멍을 뚫어 깃털을 꽂아 장식했습니다.
  • 차양주(遮陽冑): 야구 모자처럼 앞쪽에 챙이 달린 형태로, 고령 지산동과 김해 두곡 고분에서 출토되었습니다.

충각부주(衝角附冑): 앞쪽이 각지게 튀어나온 투구로, 가야의 독특한 투구 양식을 보여줍니다.

 

판갑옷과 투구(왼쪽에서 본 모습) · 왼쪽 옆구리 · 오른쪽 옆구리판갑옷과 투구(왼쪽에서 본 모습) · 왼쪽 옆구리 · 오른쪽 옆구리판갑옷과 투구(왼쪽에서 본 모습) · 왼쪽 옆구리 · 오른쪽 옆구리
판갑옷과 투구(왼쪽에서 본 모습) · 왼쪽 옆구리 · 오른쪽 옆구리
실측도(오른쪽 측면) · 실측도(오른쪽 측면) · 실측도(왼쪽 측면)실측도(오른쪽 측면) · 실측도(오른쪽 측면) · 실측도(왼쪽 측면)실측도(오른쪽 측면) · 실측도(오른쪽 측면) · 실측도(왼쪽 측면)
실측도(오른쪽 측면) · 실측도(오른쪽 측면) · 실측도(왼쪽 측면)

 

4. 중장기병과 말 갑옷

4.1 전쟁에 투입된 말의 역할

은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말 갑옷(馬甲)은 전투 시 말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되었습니다. 가야의 마갑은 고분 유물로만 남아 있어 그 실체를 유추해야 합니다. 마주와 마갑이 함께 발견된 지역은 부산, 김해, 합천, 고령 등 가야의 중심지들입니다.

4.2 말갑옷(마갑)의 구조

마갑은 찰갑 형태로 제작되었습니다. 부위별로 경갑(목), 흉갑(가슴), 신갑(몸통), 고갑(엉덩이)로 구분되며, 작은 철판을 연결해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설계되었습니다.

가야 중장기병의 실체는 고구려의 개마무사와 유사한데, 이는 부산 복천동 38호 고분에서 출토된 말탄 사람 토기를 통해 추정할 수 있습니다. 이 토기에는 찰갑을 입고 큰 방패와 창을 든 인물마주와 마갑으로 무장한 말을 타고 있는 모습이 묘사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고위 장수들이 중장기병으로 활약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경주 구정동 판갑옷
경주 구정동 판갑옷

 

5. 갑옷의 제작 방식

5.1 철판의 연결과 고정

갑옷 제작은 철판을 가죽끈이나 으로 연결해 이루어졌습니다. 철판의 가장자리를 부드럽게 처리하는 복륜(伏輪) 기법을 사용해 착용감을 높였습니다. 또한, 갑옷을 쉽게 입고 벗을 수 있도록 가슴 부분이나 옆구리에 개폐 장치를 설치했습니다.

5.2 개폐 장치의 유형

  • 가죽띠 경첩: 종장판갑에 주로 사용된 방식.
  • 고리 경첩: 대금계판갑에서 발견되며, 고리와 가죽띠를 조합해 철판을 고정했습니다.

 

투구(오른쪽에서 본 모습) · 실측도(위에서 본 모습)투구(오른쪽에서 본 모습) · 실측도(위에서 본 모습)
투구(오른쪽에서 본 모습) · 실측도(위에서 본 모습)

 

6. 가야 중장기병의 역사적 의의

가야의 중장기병은 단순한 병력이 아니라, 당시 철기 문화의 정점을 보여주는 상징이었습니다. 고구려, 신라와의 전투에서 기동성과 전술적 우위를 바탕으로 활약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또한, 가야의 갑주와 마갑은 일본과의 교류와 기술 전파의 흔적을 보여줍니다.

가야의 중장기병은 고구려의 개마무사에 비견될 만한 병력으로 추정되며, 국립김해박물관에 전시된 유물들을 통해 그들의 실체를 엿볼 수 있습니다.

 

7. 결론: 가야사 이해의 확장

가야의 갑주와 중장기병은 철제 무기와 방어구의 발전, 교류와 전쟁을 통한 기술적 성과를 상징합니다. 또한, 소수의 고위 장수가 착용한 갑옷과 마갑은 단순한 방어구를 넘어 권력의 상징으로 작용했습니다. 이러한 가야의 무기 문화는 일본과의 교류뿐만 아니라 신라와의 경쟁 속에서 발전했습니다.

가야사는 아직 많은 부분이 베일에 가려져 있지만, 발굴된 유물을 통해 당시 사회와 군사 체계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향후 가야에 대한 연구가 심화될수록 그들의 문화와 전술에 대한 이해도 더 깊어질 것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