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대왕암(大王岩)은 경상북도 양북면 봉길리 감포 해변에서 200m 떨어진 바다에 위치해 있으며, 신라 제30대 문무왕(文武王)의 바닷속 왕릉(海中王陵) 또는 산골처(散骨處)로 알려져 있다. 삼국을 통일한 문무왕은 죽어서도 용(龍)이 되어 신라를 지킬 것을 맹세하였으며, 동해(東海)에 장사지낼 것을 유언으로 남겼다고 전해진다. 그의 유언에 따라 아들 신문왕(神文王)은 문무왕의 시신을 화장하여 대왕암에 장사하였다. 대왕암은 문무왕과 관련하여 감은사(感恩寺), 만파식적(萬波息笛), 이견대(利見臺)와 연결된 하나의 큰 이야기를 구성하고 있다.
2. 대왕암은 문무왕의 바닷속 왕릉인가?
대왕암은 사적 제158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문무왕의 바닷속 왕릉으로 알려져 있다. 2011년 7월 28일 문무대왕릉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대왕암은 처음 멀리서 보면 주변의 큰 바위로 둘러싸인 평범한 바위섬처럼 보인다. 그러나 가까이 가서 살펴보면 동서남북 네 방향으로 물길이 있고, 바위의 중앙부에는 못처럼 파여진 공간이 존재한다. 여기에는 거대한 바윗돌이 놓여 있으며, 바닷물은 차고 빠짐에 따라 동쪽에서 들어와 중앙부에 모였다가 다시 서쪽으로 흘러간다. 대왕암은 본격적인 학술조사가 이루어지기 이전부터 ‘대왕 바위’로 불려왔다.
1964년 신라오악학술조사단(新羅五岳學術調査團)이 대왕암에 대한 본격적인 학술조사를 시작하였다. 조사단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근거를 바탕으로 대왕암을 신라 문무왕의 바닷속 왕릉으로 비정하였다. 첫째, 대왕암은 『삼국사기(三國史記)』 등 문무왕 관련 사료를 보면 문무왕릉으로 보인다. 둘째, 감은사와 이견대와 같은 문무왕과 관련된 유적들과 깊은 연관성을 가진다. 셋째, 대왕암의 중앙부에 놓인 거대한 바윗돌은 육지에서 운반해 온 것이라 보고, 넷째, 중앙부에 물이 있는 못을 만들기 위해 인공적으로 동서 방향의 긴 물길이 마련되어 있다. 다섯째, 중앙부에 놓은 거대한 바윗돌은 정확하게 남북 방위에 맞춰 놓여있다.
그러나 대왕암을 문무왕의 바닷속 왕릉으로 보는 것과는 다른 견해도 존재한다. 첫째, 문무왕의 유언에 따르면 화장할 것을 당부하였고, 둘째, 대왕암은 문무왕의 유골을 뿌린 장소일 가능성이 있다. 셋째, 중앙부에 위치한 거대한 바윗돌 아래에 문무왕의 유골을 봉안한 납골 장치나 석실이 없을 가능성이 높다. 넷째, ‘장사지낼 장(葬)’이라는 글자는 화장하여 분골할 경우에도 사용되기 때문에, 대왕암은 문무왕의 바닷속 왕릉이 아니라 유골을 뿌린 산골처라는 견해도 있다.
3. 대왕암에 나타난 문무왕의 호국정신
문무왕이 죽자 신하들은 왕의 유언에 따라 대왕암에서 장사를 지냈고, 문무왕은 신라를 지키기 위해 용이 되었다는 기록은 여러 문헌에서 확인된다. 대강의 줄거리는 ‘왜(倭)가 자주 신라를 침범하니, 문무왕은 이를 근심하여 죽어서 용이 되어 나라를 수호하겠다고 맹세하였다. 그리고 죽을 때 유언하기를 “나를 동해의 물속에 장사지내라” 하였다’라는 내용이다.
왜의 침입은 신라의 역사에서 계속된 고민거리였다. 문무왕의 아버지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은 절영도(絶影島)에 진지를 쌓아 왜를 정벌하고자 하였다. 문무왕은 왜의 침입을 막기 위해 죽어서 용이 되겠다고 맹세하고, 동해에 장사지낼 것을 유언으로 남겼다. 그의 아들 신문왕은 이 유언을 받들어 대왕암에 장사를 지냈다.
문무왕의 호국정신은 대왕암 뿐만 아니라 감은사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감은사는 경북 경주시 양북면 용당리에 위치한 신라 시대의 절로, 현재는 절터와 삼층석탑 두 기가 남아있다. 문무왕은 부처님의 힘을 빌려 왜병을 진압하고자 감은사를 창건하였으나 완공하지 못하고 죽어 바다의 용이 되었다. 신문왕은 아버지의 유지를 받들어 감은사를 완공하였다.
1970년대 감은사지를 발굴 조사한 결과, 감은사 금당의 주춧돌 아래에는 일정하게 틈이 있으며, 동쪽을 향해 구멍이 뚫려 바다와 물길이 이어지게 만든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문무왕이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도록 고안된 구조로 추측된다.
4. 용이 된 문무왕과 이견대 및 만파식적
신문왕은 문무왕을 대왕암에 장사지낸 뒤, 신라를 지키기 위해 용이 된 문무왕을 배알하기 위해 대왕암을 조망할 수 있는 언덕에 이견대를 세웠다. 이견대는 경상북도 경주시 감포읍 대본리에 있으며 사적 제159호로 지정되어 있다. 신문왕은 일관(日官) 김춘질과 이견대에서 만난 용을 통해 문무왕이 신라를 지키는 용이 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당시 사람들은 용을 물의 신이자 풍요의 신으로 여겼다. 용이 구름과 비를 통제한다고 믿었던 그들은 이견대에서 기우제를 지냈을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후기 문신이자 학자인 홍양호의 기록에 따르면 이견대는 조선 후기에도 기우제를 지내는 장소로 사용되었다.
이처럼 용이 된 문무왕은 신라를 지키는 것과 동시에 구름과 비를 통제하는 능력까지 부여받았다. 이는 그의 호국 이미지를 백성에 대한 사랑으로 확장시켰다. 이러한 모습은 만파식적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만파식적은 신비로운 피리로서 피리를 불면 적병이 물러가고, 가뭄에 비를 내리며, 장마를 멈추고, 물결을 평온하게 한다.
문무왕은 죽어서 용이 되었고, 신문왕은 문무왕의 유언에 따라 대왕암에 장사지냈다. 또한 문무왕이 완공하지 못한 감은사를 세운 후, 용이 된 문무왕은 신비로운 피리인 만파식적을 신문왕에게 주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대왕암에서 시작된 문무왕의 호국정신이 감은사, 이견대, 만파식적을 통해 하나의 큰 이야기로 발전하였음을 보여준다. 이는 평화와 안정을 바랐던 신라인의 염원을 담고 있다.
함께 보면 좋은 관련글
'Education > H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구정광대다라니경: 신라 탑 속에 담긴 신앙과 공덕 (0) | 2024.10.24 |
---|---|
신라촌락문서: 신라 지방 행정의 치밀함과 대민 지배의 단면 (0) | 2024.10.24 |
고왕 대조영의 생애와 발해 건국 (0) | 2024.10.24 |
발해 건국: 고구려 유민과 말갈족의 새로운 나라 (0) | 2024.10.24 |
신문왕: 통일신라를 완성하다 (0) | 2024.10.24 |
신라의 국학(國學): 국립 교육기관의 역사와 의미 (0) | 2024.10.24 |
경주 감은사지: 나라를 지키는 용이 된 문무왕의 자취 (0) | 2024.10.24 |
신라의 문장가 설총과 이두의 집대성 (0) | 2024.10.24 |